지난 2022년 러시아·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건설 업계는 직격탄을 맞았습니다. <br /> <br />시멘트 생산에 필요한 러시아산 유연탄 공급에 차질이 생겨 시멘트 부족 사태가 두 차례나 발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를 반영한 최근 3년간 건설 중간재 가격은 35.6%나 오르며 공사비 지수도 26.1% 상승하는 등 건설 업계는 최악의 인플레이션을 겪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구체적 항목을 보면 최근 3년간 레미콘은 34.7%, 시멘트는 54.6%, 철근은 64.6%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건설업 원가에서 1/3을 차지하는 자재비가 이렇듯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며 분양가 상승 등 건설 경기 악화로 이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또 관련 업계 간은 물론 조합과 시공사 간 갈등으로도 번졌습니다. <br /> <br />앞으로의 문제는 공급 부족 현상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. <br /> <br />특히 시멘트와 골재, 철근·봉강은 건설 경기 하락 때 수요량보다 덜 생산하는 경향이 있어 올해 수급난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박철한 /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 : 자재를 과소 생산하는 경향이 강화됐는데 그건 생산 비용도 올라갔을 뿐만 아니라, 이것을 관리하는 비용도 올라가다 보니까 재고량을 줄이려고 업체들이 노력한 것이 아닌가….] <br /> <br />이를 막기 위해서는 일단 수요자와 공급자 간 협력과 예측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. <br /> <br />[박선구 /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 : 건설 자재 물량과 공사비 예측 같은 것들은 빅데이터 기반으로 새롭게 정확도를 높이는 이런 연구와 연구들을 통해서 앞으로 좀 계속 개선해 나가는 게 어떨까 싶습니다.] <br /> <br />또 원가 정보의 투명한 공개와 자재 시장에 대한 정기 조사도 필요합니다. <br /> <br />국토교통부는 협상에서 우위에 서기 위한 자재 공급 중단 행위에 적극 대응하겠다며 건설업계에 자재 시장 질서 확립을 당부했습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우선 건설 자재 수급과 가격 변동에 따른 갈등 해소를 위해 건설 자재 수급 협의체를 운영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승윤입니다. <br /> <br />촬영기자|이승주 <br />그래픽|김효진 <br />자막뉴스|류청희 <br /> <br />#자막뉴스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40213140452740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